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열린광장] “Bless you”와 “불났씨유”

낯선 땅에서 여행하거나 거주할 때, 언어와 문화는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미국에서 처음 생활하며 겪었던 인상적인 경험 중 하나는 재채기를 하는 상황에서 주변 사람들의 반응이었다. 누군가 재채기를 하면 주변에서 “Bless you!”라고 말하고, 재채기한 사람은 “Thank you”라고 답하는 것이었다.   “Bless you!”는 “May God bless you!”라는 표현을 줄인 말로, 서기 590년 유럽에서 전염병이 유행했을 당시 교황 그레고리 1세가 재채기가 병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는 생각에 신의 가호를 빌어주라는 특별한 지시를 내린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미국에 처음 이민 온 한인 부부가 편의점을 운영하면서 손님들이 하는 “Bless you”라는 말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해 “그래씨유”나 “불났시유”처럼 들렸다고 하며 겪었던 웃지 못할 에피소드는 언어 장벽의 단적인 예시이다.   또 다른 경험은 미국에 온 지 얼마 안 된 사람이 고급 레스토랑에서 웨이트리스가 “Soup or salad?”라고 묻는 질문을 “Super Salad?” 즉, 아주 큰 샐러드를 원하는지 묻는 것으로 오해하여 “Yes!”라고만 반복했다는 이야기이다. 이는 비슷한 발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흔한 오해 중 하나이다.   낯선 음식 이름과 발음의 어려움 때문에 일행 중 먼저 주문하는 사람의 메뉴를 따라 “Me, too!”라고 외치는 경우나, 대형마트 계산대에서 “Paper or plastic?”이라는 질문을 그저 봉투에 담아주겠다는 친절한 말로 잘못 알고 “Thank you”만 연발하는 상황도 외국 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된 에피소드이다. 영어는 비영어권 화자에게 쉽지 않은 언어이다. 26개의 알파벳으로 45개의 음소를 표현하며, 한국어에는 없는 ‘f’, ‘v’, ‘th’와 같은 발음은 특히 한국인들에게 어려움을 준다. 예를 들어, ‘wife’를 ‘와이프’로 표기하는 것에 익숙한 한국인들은 실제 영어 발음 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또한, 영어의 장모음과 단모음의 명확한 구분은 한국어 발음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sheet”와 “shit”처럼 짧은 발음 하나로 전혀 다른 의미가 되는 단어들은 의사소통에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s’ 발음이 단어에 따라 ‘스’ 또는 ‘즈’로 소리 나는 규칙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as long as”를 “ass long ass”로 잘못 발음하여 당황스러운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이처럼 미국의 역사와 문화가 녹아 있는 영어는 방문객이나 이민자들에게 때로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한인들도 많다는 점을 언급하며 그들의 노력을 칭찬하고 싶다. 사피어-워프 가설은 언어와 문화가 서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문화를 이해하게 되고, 반대로 문화를 알지 못하면 언어 습득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에 거주하며 한국어와 문화를 깊이 이해한 로버트 할리 씨는 이러한 가설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마찬가지로 한국을 방문하거나 이민 오는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는 매우 생소한 언어일 것이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만큼 더욱 그러할 것이다. 한국어와 문화를 능숙하게 이해하는 외국인들에게도 박수를 보낸다.   결국, 외국에서 그 나라의 언어와 문화를 익히는 것은 개인의 성공적인 정착을 돕고, 더 나아가 자신의 조국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박시걸 / 캘스테이트 샌버나디노 교수열린광장 한국어 발음 영어 발음 비영어권 화자

2025-04-14

“여성의 세대 간 트라우마 담아”…한국어 제목 ‘엄마(UMMA)’ 개봉

한국계 감독인 아이리스심 감독이 연출한 ‘엄마(UMMA)’가 지난 18일 개봉했다.     한국어 발음 ‘엄마’를 그대로 제목으로 내세우고 지난 15일 한인타운 CGV에서 시사회를 열며 한인사회에서도 큰 관심을 받았다.     한국계 배우 샌드라 오와 파이블 스튜어트가 주연을 맡은 할리우드 영화 ‘엄마(UMMA)’는 세대 간에 걸친 트라우마를 담은 공포물로 근저에 한국 문화와 유산이 깔려있다.     영화 ‘엄마’는 미국 외딴 농장에서 10대 딸(파이브 스튜어트)과 조용한 삶을 살아가는 어맨다(샌드라 오)의 삶을 따라간다.     어느 날 삼촌이 어머니의 유해를 전달하기 위해 미국에 도착하자 평화로웠던 삶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어맨다는 자신의 어머니로 변하는 것에 대한 초자연적인 공포에 사로잡힌다.     감독은 영화를 통해 복잡한 모녀관계와 이에 따른 엄마로 변하는 악몽을 탐구한다.     NBC 방송은 “아시아계 여성의 세대 간 트라우마와 죄책감 등의 감정을 장르물로 녹여낸 영화”라고 평했다.   ‘엄마’는 심 감독이 각본을 쓰고 연출한 첫 장편 영화다. 심 감독은 “우리의 엄마들이 경험했던 실패와 개인적인 고통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심 감독은 2010년 제작된 시카고의 한인 이민자 가정의 아메리칸 드림을 다룬 다큐멘터리 ‘더 하우스 오브 서(The House of Suh)로 이름을 알렸다.     ’엄마‘는 소니 픽처스가 배급하며 제작사는 공포영화 ’이블 데드‘, 토비 매과이어 주연의 ’스파이더맨‘ 시리즈로 잘 알려진 샘 레이미 감독의 레이미 프로덕션이다.   영화 등급 PG-13, 상영시간 1시간 23분.   이은영 기자트라우마 한국어 한국어 발음 한국어 제목 아시아계 여성

2022-03-20

[중앙 칼럼] 기초 없는 ‘사상누각’ 교육

 미국에서 자녀를 초등학교부터 키운 사람들의 상당수가 깨닫는 것이 미국교육은 기초부터 차근차근 가르친다는 것이다. 아이가 프리스쿨에 들어가면 알파벳을 가르치면서 연결된 발음을 익히게 한다. ESL클래스를 다녀 본 사람이라면 한국에서 대학까지 나온 성인에게 알파벳 발음을 처음부터 가르친다는 것에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의 영어 교육은 그렇게 기초부터 가르친다.   덕분에 미국에서 초등학교를 나온 학생들의 발음은 물론, 글 쓰는 수준도 아주 비슷하다. 주류 언론에서는 고교 졸업률, 졸업 시험의 합격률과 관련해 미국 교육이 벼랑 끝으로 밀려나는 것처럼 기사를 쓰지만 실상 기초교육은 확실하게 돼 있다고 봐야 한다.     반면 한국의 초등학교에서는 기역, 니은, 디귿부터 가르치지 않는다. 말을 할 줄 아는 사람들에게는 한글이 워낙 쉽다 보니 따로 배울 필요가 없었다.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인해 이보다 더 쉬운 말이 있는가 싶어서다. 맞는 말이다. 한나절만 가르치면 한글을 깨우칠 정도다.     하지만 한국어나 한글이 누구에게나 쉬운 언어가 아니다.   한국에 외국인이 많이 유입되면서 그들이 한글을 배우면서 겪는 어려움을 보고서야 한국어 교육이 기초부터 가르치지 않는 것을 알았다. 중학교 1학년 때 자음접변, 모음조화를 배우고 나서야 한글도 발음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삼국시대를 얘기하며 ‘신라’를 썼지만 그것이 [실라]로 발음되는지 몰랐다. 더욱이 한국어에 표준적인 발음이 마땅히 없었다는 점을 최근 알게 됐다. 아니면 있는데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아서 몰랐거나 공부를 등한시한 86세대들만 몰랐을 수도 있다.     한국어도 장음과 단음이 있고 자음도 유성음과 무성음으로 나뉘며 고유한 발음을 갖는다. 또한 바로 뒤에 어떤 모음이 붙느냐에 따라 정확한 발음이 있을 텐데 들어서 알고 쓸 줄은 알지만 따로 배운 기억이 없다. 한국 성인들은 발음이 조금 달라도 머릿속에 기억된 문장 덕분에 큰 문제 없이 이해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장음과 단음을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표준적인 발음에 주목하게 된 것은 바로 음성 인식기술 때문이다. 영어 발음은 대부분 문자로 데이터화 할 수 있는데 같은 시스템이라도 한국어는 오차 허용 범위가 더 넓어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머신러닝을 통한 인공지능이 해결해 준다고 설명하지만 그렇게 쉬워 보이지 않는다.     굳이 인공지능에서의 문제가 아니어도 한국어 발음의 부정확성은 확실히 있다. 일상에서 심지어 같은 한국 사람과 통화할 때도 정확한 단어와 이름을 알기 위해서는 다시 물어보는 경우가 종종 있다. 넘겨짚어서 받아 적어 놓으면 엉뚱한 이름과 숫자가 되기 쉽다.     기자의 이름이 장병희인데, 병과 희가 인접하면서 제대로 발음이 안 날 때가 있다. 수화기 저쪽에서는 ‘장경희’나 ‘장병시’라고 듣기도 한다. 영어도 이름에 특이한 스펠링이 많아서 알파벳을 따로 불러주기도 하지만 한글 이름을 따로 불러줘야 하는 경우는 드물다.     한국에서도 유연성, 열린 사고를 강조하는 것이 눈에 띄게 보이고 있다. 하지만 기초가 튼튼하지 않은 상태에서 좋다는 것만 따라하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다.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나오지 않는 것이 기초과학을 소홀히 해서라는 주장도 일리가 있다. 미국에서 아이를 키운 학부모로 내린 결론은 한국은 너무 급하게 ‘빨리빨리’ 성장한 나머지, 정치, 사회, 문화, 과학 등 모든 분야에서 기초를 튼튼히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요즘 한국의 교육이 사상누각을 짓고 있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장병희 / 사회부 부국장중앙 칼럼 사상누각 기초 한국어 교육 한국어 발음 한글도 발음

2021-12-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